본문 바로가기

정보

공격성치매도 가족의 노력에 따라 착한치매로 바뀔수 있다!

728x90
반응형

 

 

 

중앙치매센터에서 공개한 2020년에서 2024년 사이에 치매환자수가 80만에서 90만까지 늘어난다고 발표했다.

지금 현재 국내 65세 이상 노인의 2-3%가 치매환자로 분류되며, 경증환자까지 친다면 5%를 넘을 수도 있다고 한다.

치매란, 성장기에는 정상적인 지적 수준을 유지하다가 후천적으로 인지기능의 손상이 일어나거나 인격의 변화가 일어나는 질병이다.

이러한 치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그 원인에 따라 혈관성 치매, 약물 중독성 치매, 뇌종 양성 치매, 뇌 외상성 치매, 알코올성 치매, 영양결핍성 치매, 파킨슨병 치매 등으로 불린다.

이렇게 치매는 점차 진행되다가 결국은 모든 정신적 활동이 불가능해진 상태에서 발병 후 5~10년 안에 사망하게 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이 치명적인 질병을 앓고 있는 치매환자가  확실히 예전보다 많이 늘었다는 것을 우리는 주위에서 쉽게 실감할 수 있다.

이에 우리 가정에서도 언젠가는 일어날지도 모르는 이러한 불행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나기 위해서는 

치매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가족들이 어떻게 치매환자를 대하는가에 따라서 치매도 착한 치매로 발현될지, 공격성 치매로 발현될지가 갈리기 때문에

우리들이 간과해서는 안될 중요한 문제이므로, 관심을 가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치매에 대해 아래와 같이 알아보았다.

 

 

 

치매의 초기 증상

1. 물건이 어디 있는지 잊어버리거나 물건을 자주 잃어버린다.

2. 가스불 켜 둔 것을 잊어버린다

3. 적어두지 않으면 약속을 잊어버린다.

4. 조금 전에 했던 말을 반복하거나 되묻는 경우가 자주 일어난다.

치매 초기 환자는 일상생활이 가능하지만 주위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치매환자의 일상생활관리

1. 자주 사용하는 물건은 손이 잘 닿는 위치의 선반에 보관한다.

2. 화상을 입지 않도록 냉온 표시가 확실한 수도꼭지, 정수기 등을 사용한다.

3. 세탁기 등의 기계 작동 시 순서대로 누를 수 있도록 필수 버트에 번호를 표기해둔다.

4. 내부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한다.

5. 오래된 음식재료를 구별할 수 있도록 유통기한을 기재해 둔다.

6. 자주 사용하는 물건(리모컨, 휴대폰)은 항상 같은 장소에 두도록 한다.

7. 중요한 전화번호는 전화기 옆에 부착해 놓는다. 메모 용지도 같이 비치한다.

8. 외출 직전에는 중요한 정보를 인지하기 위해 현관문 안쪽에 메모판 등을 설치한다.

9. 휴대전화에 현관 비밀번호를 표시해둔다.

10.  매일 약을 빠짐없이 복용하기 위해 약 달력을 만든다.

11. 식탁에 약통을 놔둔다. 아침, 점심, 저녁 약을 나누어 보관한다.

 

 

 

 

치매의 중기 증상

1.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대소변의 실수를 할 수 있다.

2. 씻지 않거나 먹지 않으려 한다.

3. 전화나 티브이 등 가전제품을 조작을 못하게 된다.

4. 외출 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다.

 

치매 중기 환자의 일상생활 관리

1. 선명하고 밝은 식기류를 사용한다.

2. 식기류 밑에는 미끄럼 방지 매트를 이용하여 식기류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3. 식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식탁을 정리해둔다.

4. 익숙한 공간에서 식사할 수 있도록 매 식사 시 동일한 장소에서 식사할 수 있도록 한다.

5. 낙상 방지를 위한 목욕용 의자, 안전 손잡이를 구비한다.

6. 바닥에는 고무 매트를 설치하여 낙상 위험을 없애도록 한다.

7. 욕실에서 수도로 인한 화상 위험이 있으므로 냉온 표시가 확실한 수도꼭지로 교체하도록 한다.

8. 치매환자는 화장실에서 가까운 방을 사용한다.

9. 표시판으로 화장실의 위치를 알 수 있게 해 놓는다.

10. 야간에는 조명 사용하여 어둡지 않게 하며, 넘어지지 않도록 안전바를 설치한다.

11. 쉽게 입고 벗을 수 있는 의복을 착용한다.

12. 배뇨시간을 정해 습관화한다.

13. 필요시 이동식 변기를 사용한다.

 

 

의사소통 관련 증상

1. 문장 속 단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2. 문장의 앞부분을 잊어버린다.

3. 단어를 잘 떠올리지 못하고 머뭇거린다.

4. 저것, 그것이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치매환자와의 의사소통방법

1. 얼굴을 마주 보고 눈을 맞춘 후 대화한다.

2. 간단한 단어와 이해할 수 있는 표현을 사용한다.

3. 예, 아니오 로 답할 수 있도록 질문한다.

4. 한 번에 한 가지씩 순서대로 일을 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설명한다.

5. 반복적으로 설명한다.

6. 만약 말이 잘 나오지 않는다면 적절한 손짓이나 제스처를 사용한다.

 

심리 관련 증상

1. 성격이 바뀐다.

2. 의욕이 없고 귀찮아한다.

3. 기분 변화가 심해진다.

4. 강박적이고 부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

 

 

 

환자를 대하는 태도

1. 달라진 환자를 인정하고 그 변화를 수용해야 한다.

2. 과도한 학습, 운동 등을 강요하지 않는다.

3. 환자의 생활 자체를 소중히 여기고 환경을 마음대로 바꾸지 않는다.

 

인지재활훈련을 할 때

1. 서두르지 말고 잘 안되면 휴식 후 진행한다.

2. 실수를 지적하거나 화내지 않도록 한다.

3. 비난하거나 무시하지 않는다.

4. 잘못된 정보에 동조하지 않도록 하고 비판을 금지한다.

 

치매 재활 치료는 

1. 의료진, 환자, 가족이 협력해야 한다.

2. 신체운동, 인지훈련, 일상생활 훈련,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3. 치매 환자와 가족의 문제를 해결한다.

4. 치매의 진행을 지연시킨다.

5.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한다.

 

 

이상 서울아산병원 치매 인지재활팀의 자료를 참조했음

 

 

반응형